LAN, WAN
안녕하세요 개발구리입니다🐸.
첫 프로젝트 투입에 적응하고 자격증 공부한다고 정신이 없었네요😢
네트워크의 분류는 암기보다 이해하는게 좋아서 쉽게 이해하고자 정리합니다.
네트워크는 크게 근거리와 원거리로 나눌 수 있습니다.
근거리 통신망 : LAN(Local Area Network)
원거리 통신망 : WAN(Wide Area Network)
찾아보면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이라는 것도 있다는데…
근거리 통신망(LAN)은 말그대로 소규모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며 WAN보다 빠르고 안정성이 좋습니다.
원거리 통신망(WAN)은 그와 반대로 광역 통신망에서 사용됩니다. LAN보다는 느립니다. 그리고 이것이 바로 인터넷입니다.
LAN 대해서는 CSMA/CA, CSMA/CD 라는 용어가 나와 이는 암기를 해야하겠지만 WAN에 대해서는 이해를 하는 것이 좋으니 이어 설명하겠습니다.
WAN은 방법은
- 전용 회선 방식
- 회선 교환 방식
- 패킷 교환 방식
위의 세 가지로 나뉘어집니다. 우선 전용 회선 방식은 말 그대로 전용 회선을 사용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크게 이해에 어려움은 없습니다.
회선 교환 방식과 패킷 교환 방식을 비교해서 볼 수 있는데요
회선 교환 방식은 송수신간에 회선을 설정하고 이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 입니다. 회선을 사용하기 때문에 독점적이며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송수신간에 회선이 있으니 데이터는 회선을 따라가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오버헤드가 적습니다.
장점
- 빠른 속도
- 적은 오버헤드
단점
- 독점으로 인한 유연성 저하
패킷 교환 방식은 데이터를 패킷으로 나누어 전송하는 방법입니다. 패킷 교환 방식은 공통적으로 데이터를 패킷으로 나누어서 전송하기 때문에 회선 교환 방식에 비해 오버헤드가 많이 발생하게 됩니다.
패킷 교환 방법은 아래의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 데이터그램 방식
- 가상 회선 방식
데이터그램 방식은 패킷에 도착지 주소를 담아 네트워크 망에 보내는 방식입니다.
가상 회선 방식은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송수신간에 가상의 회선을 연결하는 방식입니다.
여기까지가 텍스트와 개념으로만 이해한 내용입니다.
하지만 저는 이해가 잘 되지 않아서 좀 더 찾아봤고…특히나 회선 교환 방식과 가상 회선 방식 모두 송수신간에 연결을 확립하고 데이터의 송수신이 일어나기 때문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궁금해서 찾아봤습니다.
회선 교환 방식은 송수신간에 연결하고 이를 독점하기 때문에 오버헤드가 적고, 전송이 빠르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회선을 독점한다는 것은 데이터의 송수신이 없다면 오히려 비효율적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반면 가상 회선 방식은 송수신간에 연결을 확립하지만 이를 독점하지는 않고 데이터를 패킷으로 보냅니다. 결국 속도는 저하되지만 독점하지 않기 때문에 효율성과 유연성 측면에서 더 나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여 생각해보면 송신측과 수신측 사이에 지속적인 데이터 통신이 필요한 경우에는 회선 교환 방식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경우가 아니라면 가상 회선 방식이 유연성 측면에서 나을 수 있습니다.
정리
네트워크의 구분 -근거리 통신망(LAN;Local Area Network) -원거리 통신망(WAN;Wide Area Network) -전용 회선 방식 : 송수신 간에 전용 회선을 사용 -회선 교환 방식 : 송수신 간에 회선을 연결하여 사용 -패킷 교환 방식 : 데이터를 패킷으로 나누어 네트워크 망을 통해 전송 -데이터그램 방식 : 각각의 패킷에 도착지 주소를 담아 전송 -가상 회선 방식 : 송수신간에 연결을 확립 하여 패킷을 전송